<미디어이슈리포트> 2025 언론산업 성장 추세와 주요 이슈 전망

  • 작성자 :
  • 작성일 : 2025.01.24
  • 조회수 : 2351

 

2025년 한국 신문산업 규모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0.8%)27억 달러 규모이며, 향후 3년간 연평균 0.4%씩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신문산업 규모 역시 2028년까지 연평균 1.7%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장기 침체 국면에서 언론사들은 다양한 번들링 전략 뉴스 인플루언서 협업 AI, 비주얼 포렌식, 데이터 저널리즘 기술 도입 독자 선호에 맞는 짧거나 긴 콘텐츠 제작 이용자 피드백 분석 긍정적 뉴스를 통한 이용자 연대 강화 등 적극적인 비즈니스/콘텐츠 전략에 기반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효재)124<미디어이슈리포트> 1‘2025 언론산업 성장 추세와 주요 이슈 전망발간했다. PwC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2024~2028>에 의하면, 글로벌 신문산업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5년 약 785억 달러(전년대비 2.0%)로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 신문산업 역시 전년대비 감소(-0.8%)할 것이며, 전통 지면 신문은 축소(-2.8%) 되는 반면 디지털 신문 매출은 6.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디지털 신문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23%를 차지하는 등 그 비중이 갈수록 커지면서 언론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광고 및 구독 수익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2025년 언론산업은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이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 양극화 심화) 뉴스 소비가 짧고 즉각적인 콘텐츠와 심층적이고 권위 있는 콘텐츠로 양분화되고 있다. (번들링 전략 다각화) 뉴스와 OTT, 음악, 전자책, 교육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결합된 패키지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모색할 수 있다. (뉴스 인플루언서 부상) 뉴스 인플루언서들이 뉴스 해설과 독창적인 탐사보도로 인기를 얻으며, 기자들이 인플루언서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비주얼 포렌식 저널리즘) 스마트폰, 감시카메라, 위성이미지 등 방대한 시각자료를 활용한 비주얼 포렌식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AI 기반 지역 밀착형 저널리즘) AI를 활용해 사실 전달 기사를 자동화하고, 교통, 날씨, 지역경제 등 실생활 밀접 뉴스를 통해 지역 사회와 연대를 강화할 수 있다. (이용자 피드백 분석) 댓글, 설문조사,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채널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AI 기술로 분석하여 독자 의견을 뉴스룸에 반영할 수 있다. (긍정적 뉴스를 통한 이용자 연대 강화) 뉴스 회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긍정적인 보도를 통해 독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반복적으로 뉴스를 소비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미디어이슈리포트> 202512025 언론산업 성장 추세와 주요 이슈 전망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www.kpf.or.kr 미디어정보 정기간행물 미디어이슈리포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
<2024 언론수용자 조사> 결과 발표
이전
AI 기술과 개인정보 보호를 둘러싼 논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조사 입력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대표:김효재, 사업자등록번호 : 104-82-11163,대표전화번호 : 02-2001-7114

Copyright ⓒ 2020 KOREA PRESS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